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책 읽은 후 상상력을 키우는 질문법

by info-big1004-blog 2025. 9. 5.

 

안경 쓴 소녀가 책을 읽으며 놀라워 하는 그림
안경 쓴 소녀가 책을 읽으며 놀라워 하는 그림

 

 

 

1. 상상력과 초등 저학년 발달

초등 1·2학년은 구체적 사고에서 점차 추상적 사고로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아이들은 상상하기를 좋아하지만, 상상 내용이 엉뚱하거나 때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흐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넘어지는 장면을 읽고 “나는 다치면 어떡하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각은 불안한 감정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가 적절한 질문으로 아이의 상상을 합리적이고 긍정적으로 전환하도록 안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는 상상력을 마음껏 펼치면서도, 현실과 이야기의 경계를 이해하고 사고를 확장하게 됩니다.

2. 긍정적 상상으로 유도하는 질문의 필요성

상상력을 자극하는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창의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아이가 엉뚱하거나 부정적인 상상을 하더라도, 이를 바로잡으려 하기보다는 질문으로 긍정적·합리적 상상으로 이어가도록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힘든 상황에 부닥쳤을 때, 너라면 어떻게 재미있게 해결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부정적 상상을 긍정적 해결 경험으로 바꾸어 줍니다. 이런 과정에서 아이는 상상 속에서도 자신의 판단과 선택을 연습하게 되며, 동시에 이야기 이해력과 문해력이 강화됩니다.
“긍정적 상상으로 유도하는 질문”을 하려면, 현실에서 가능성, 희망, 따뜻함을 담은 이야기가 적절합니다. 초등 1‧2학년은 추상적 사고보다는 구체적 장면이나 친근한 캐릭터를 통해 상상력이 확장되기 때문에, 짧고 서사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열린 여지를 주는 그림책이나 동화가 좋습니다. 다음은 초등 1, 2학년 어린이들이 즐겨 읽는 도서를 사례로 상상을 유도하는 질문 예시입니다.

《무지개 물고기》
*무지개 물고기처럼 네가 가지고 있는 소중한 것을 친구에게 나눠준다면, 그건 무엇일까?
*반짝이는 비늘을 받는다면, 너는 어떤 기분이 들 것 같아?
*만약 바닷속에 네가 살고 있다면, 어떤 물고기와 친구가 되고 싶니?
*무지개 물고기에게 새로운 친구를 만들어 준다면, 어떤 모습일까?
*나눔을 통해 더 행복한 세상을 만든다면, 너는 어떤 세상을 상상하고 싶니?

《강아지똥》
*강아지똥이 꽃을 피운 것처럼, 너도 세상에 무엇을 남기고 싶니?
*강아지똥이 친구를 만난다면, 어떤 친구를 만나면 좋을까?
*작은 강아지똥이 큰일을 해냈잖아. 너도 작은 힘으로 어떤 멋진 일을 하고 싶니?
*네가 꽃이 된다면, 어떤 색깔과 향기를 가진 꽃이 되고 싶니?
*강아지똥이 행복했듯이, 너를 가장 행복하게 만드는 일은 무엇일까?

3. 상상력을 확장하는 쉬운 질문 예시 10가지

“주인공이 날 수 있다면 어디로 가보고 싶을까?”
→ 자유로운 상상을 긍정적인 탐험 경험으로 연결합니다.

“만약 주인공이 친구와 힘을 합쳐 문제를 해결한다면 어떻게 할까?”
→ 협동적 상상을 통해 사회적 사고를 키웁니다.

“이 장면을 바꿀 수 있다면 어떤 재미있는 일이 생길까?”
→ 창의적 상상을 유도하면서 이야기에 몰입합니다.

“주인공이 엉뚱한 상상을 한다면, 네가 도와줄 방법은?”
→ 부정적이거나 위험한 상상을 합리적·긍정적 해결로 바꾸게 합니다.

“주인공이 네 집에 온다면 무엇을 함께 하고 싶어?”
→ 일상 경험과 연결하여 상상을 구체적으로 만듭니다.

“이 장면에서 동물이나 물건이 말한다면 뭐라고 할까?”
→ 의인화 상상을 통해 언어 표현력과 창의력을 동시에 발달시킵니다.

“주인공이 다른 선택을 했다면 이야기는 무엇이 달라질까?”
→ 대안적 상상을 통해 문제 해결과 추론 능력을 강화합니다.

“주인공이 슬펐을 때, 너라면 어떤 즐거운 일을 해주고 싶어?”
→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행동으로 전환하며 공감 능력을 키웁니다.

“책 속 배경을 네가 만든다면 어떤 모습일까?”
→ 공간 상상력을 활용하여 창의적 사고와 세부 관찰력을 함께 발전시킵니다.

“주인공의 하루를 네가 계획한다면 어떻게 보내게 할래?”
→ 이야기 전개를 자기 관점으로 재구성하며 상상과 논리적 사고를 동시에 확장합니다.

이 10가지 질문은 아이가 자기 경험과 감정을 바탕으로 쉽게 대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엉뚱하거나 부정적인 상상을 긍정적·합리적 상상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포함해, 아이의 상상력이 건강하게 발달하도록 돕습니다.

4. 문해력과 상상력, 자신감을 함께 키우는 대화

책을 읽은 후 상상에 대한 질문을 던지면, 아이는 단순히 내용을 기억하는 데서 벗어나 자신만의 생각과 이야기를 구성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언어 표현 능력과 이야기 이해력, 즉 문해력이 자연스럽게 강화됩니다. 또한, 상상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하고 부모나 교사와 주고받는 경험은 자신감을 길러 줍니다.

긍정적·합리적 상상으로 유도된 대화는, 아이가 이야기 속 상황을 다양한 시각으로 바라보고, 동시에 현실 감각을 유지하게 돕습니다. 이렇게 반복적인 상상과 대화 경험은 독서를 단순한 활동이 아니라 창의적 사고와 자기표현을 배우는 훈련장으로 만들어 줍니다. 결국 책 읽기 후 상상 질문법은 아이의 사고력, 문해력, 자신감을 동시에 높이는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