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등 1·2학년을 위한 질문 기반 어휘력 확장법: 그림책으로 시작하는 언어 발달의 비밀

by info-big1004-blog 2025. 9. 5.

다양한 그림책들
다양한 그림책들

 

 

1.초등 저학년 어휘력 발달의 중요성과 특징

 

초등학교 1·2학년은 아이들의 언어 능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결정적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들은 한글을 읽고 쓰는 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더욱 풍부한 어휘 세계를 탐험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특히 어휘력은 단순히 많은 단어를 아는 것을 넘어서, 문해력과 사고력, 그리고 자기 표현력의 토대가 되는 핵심 능력입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아이들은 아직 다양한 어휘를 접할 기회가 제한적이며, 새로운 단어를 맥락 속에서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합니다. 바로 여기서 그림책과 질문의 힘이 빛을 발합니다. 그림책은 시각적 단서와 함께 다양한 어휘를 제공하며, 적절한 질문은 아이가 수동적으로 단어를 암기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어휘를 탐구하고 활용하도록 돕습니다.

2.질문을 활용한 어휘 학습의 핵심 원리

 

질문 기반 어휘 학습의 가장 큰 장점은 아이가 단어를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자기 경험과 연결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주인공의 기분은 어땠을까?"라는 질문을 받으면, 아이는 그림과 상황을 관찰하며 '기쁘다', '슬프다', '화난다' 등의 감정 어휘를 선택하고 문장으로 표현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아이는 단순한 암기를 넘어 다음과 같은 종합적 학습 효과를 경험합니다. 먼저 맥락 속에서 단어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게 되며, 다양한 어휘를 활용해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이 향상됩니다. 또한 단어의 의미를 이해하면서 전체 이야기의 흐름과 주제까지 파악하는 문해력이 강화되고,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면서 논리적 사고력도 함께 발달합니다.

**실전 활용 사례: '으악 도깨비다'로 감정 어휘 확장하기

손정원 작가의 '으악 도깨비다'는 아이들이 무서움과 용기, 그리고 친구 관계에 대해 배울 수 있는 훌륭한 그림책입니다. 이 책을 활용한 어휘력 확장 질문들을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주인공이 도깨비를 보고 '무섭다' 대신 어떤 단어로 기분을 표현할 수 있을까요?"를 통해 '두렵다', '떨린다', '깜짝 놀랐다' 등의 감정 어휘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둘째, "도깨비가 나타났을 때 주인공의 모습을 '놀란다' 말고 다른 말로 표현해 보세요"라는 질문으로 '벌벌 떤다', '얼어붙는다', '소스라친다' 등의 표현을 익힐 수 있습니다.
셋째, "용기를 낸 주인공의 마음을 '용감하다' 외에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를 통해 '씩씩하다', '당당하다', '멋지다' 등의 긍정적 감정 어휘를 학습합니다. 넷째,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 주인공이 느꼈을 기분을 표현해 보세요"로 '든든하다', '안심된다', '따뜻하다' 등의 관계 어휘를 익힙니다. 마지막으로 "도깨비와 친해진 후 주인공의 기분을 다양한 단어로 말해보세요"를 통해 '뿌듯하다', '기특하다', '흐뭇하다' 등의 성취감 관련 어휘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실전 활용 사례: '큰사람 장길손'으로 행동과 성격 어휘 강화하기

송아주 작가의 '큰사람 장길손'은 우리나라 전래 인물 이야기를 통해 다양한 행동과 성격을 표현하는 어휘를 배울 수 있는 좋은 소재입니다. 이 책을 활용한 구체적인 질문 예시들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첫째, "장길손이 도움을 주는 모습을 '친절하다' 대신 다른 말로 표현하면?"이라는 질문을 통해 '따뜻하다', '정겹다', '선하다' 등의 성격 어휘를 확장합니다. 둘째, "장길손이 키가 큰 모습을 '크다' 말고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로 '우뚝하다', '웅장하다', '거대하다' 등의 형태 묘사 어휘를 익힙니다.
셋째, "장길손이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을 다른 단어로 말해보세요"를 통해 '날쌔다', '민첩하다', '쏜살같다' 등의 동작 어휘를 학습합니다. 넷째, "장길손의 마음씨를 '착하다' 외에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로 '순수하다', '따스하다', '넉넉하다' 등의 내면 묘사 어휘를 익힙니다. 마지막으로 "장길손이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표현하는 단어들을 찾아보세요"를 통해 '해결한다', '극복한다', '이겨내다' 등의 문제해결 관련 어휘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3.어휘 확장을 위한 효과적인 질문 전략 10가지

 

체계적인 어휘력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유형의 질문을 균형 있게 활용해야 합니다. 감정 표현 어휘 확장을 위해 "주인공의 기분을 '기쁘다' 말고 다른 단어로 표현해 보세요"와 같은 질문을 활용하고, 행동 묘사 어휘 강화를 위해 "주인공이 뛰는 모습을 '빠르다' 외에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라고 질문합니다.
상태 표현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주인공이 기다리는 모습을 다양한 단어로 표현해 보세요", 성격 묘사 어휘 확장을 위해 "주인공의 성격을 '착하다' 말고 어떻게 표현할까요?"라고 묻습니다. 또한 감각 표현 어휘 강화를 위해 "음식 맛을 '맛있다' 외에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요?", 크기와 모양 어휘 학습을 위해 "이것을 '크다' 말고 다른 단어로 표현하면?"이라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
색깔과 외관 어휘 확장에는 "이 장면을 색깔로 표현할 때 어떤 단어들을 쓸 수 있을까요?", 관계 표현 어휘 강화에는 "친구들과 함께 있을 때의 느낌을 말해보세요", 자연 현상 어휘 학습에는 "날씨를 '좋다' 말고 어떻게 표현할까요?", 마지막으로 추상적 개념 어휘 확장을 위해 "행복한 순간을 다양한 단어로 표현해 보세요"와 같은 질문을 활용합니다.


4.질문 기반 어휘 학습이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질문을 통한 어휘 학습의 가장 큰 장점은 단순한 단어 암기를 넘어 종합적인 언어 능력 발달을 촉진한다는 점입니다. 아이들은 질문에 답하는 과정에서 단어의 의미를 맥락 속에서 정확히 파악하고, 자기 경험과 연결하여 장기 기억으로 저장합니다.
이러한 학습 방식은 읽기 능력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풍부한 어휘력을 바탕으로 아이들은 다양한 글을 더 쉽게 이해하고, 글쓰기에서도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자기 생각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설명하는 과정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도 함께 발달합니다.
결국 질문 기반 어휘 학습은 단어 학습, 문해력 향상, 사고력 발달을 동시에 이루는 통합적 교육 방법입니다. 부모와 교사가 적절한 질문으로 아이들을 안내한다면, 아이들은 책 읽기의 즐거움을 느끼며 자연스럽게 언어 능력을 키워갈 수 있을 것입니다.